회사 직급 순서 직접 정리했어요
회사 직급 순서 직접 정리했어요
누구나 사회초년생 시절을 겪습니다. 사회생활에 처음 입문할 때, 갓 회사에 입사한 신입사원들은 회사 직급 순서에 대해서 잘 모르거나, 명칭 등에 익숙해지기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회사 직급 순서와 호칭은 회사생활을 하는데 기본이기 때문에, 한번쯤은 정확히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회사 직급 순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회사 직급 순서 사실 회사마다 조금씩 차이가 날 수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제 구체적이고 전반적인 회사 직급 순서를 살펴보겠습니다. 파트 타임 아르바이트생, 인턴사원, 수습사원, 사원, 주임(생산직에서 조장), 계장(생산직에서 반장), 대리, 과장, 차장, 부장, 이사, 상무, 전무, 부사장, 사장, 부회장, 회장 순입니다. 회사의 수직관계에 따라 가장 아래가 파트타임 아르바이트생이고, 가장 상위 직급이 회장인데요. 체계가 대체적으로 이렇게 나눠지지만 앞서 말씀 드렸다시피 회사마다 상이할 수 있습니다.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생은 업무수행을 일시적으로 수행하는 비정규직에 해당되는 직원이고, 인터사원은 정식사원이 되기 전에 수습기간을 거치는 비정규직 혹은 정규직 직원입니다. 사원은 정규직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직급이고, 주임은 사원보다 위로서, 직급과 연차가 높은 담당자급 업무를 수행합니다. 대리 이상은 팀장이라고 불릴 수도 있고, 과장의 직무대행을 하기도 합니다. 과장은 책임과 권한이 부여되는 관리자급이고, 차장은 과장보다 높은 급으로서 부의 부수장과 같은 지급이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부장은 부를 담당하고 책임지는 관리자입니다.
지금까지 회사 직급 순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부장 이후의 이사와 상무를 거쳐 임원급은 이사, 상무, 전무, 부사장, 사장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상무는 회사 전반의 경영에 참여하고, 전무는 상무보다 높은 급입니다. 부사장 및 사장은 단독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임원이며, 그 중에서 사장은 회사 전체를 책임지는 책임자 직급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회사 직급 순서가 사회 초년생에게는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차츰 익숙해지면 호칭을 부르는 게 자연스러워질 것입니다. 본 포스팅이 회사 직급 순서를 익히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